2025년 06월 27일

노노상속의 세금 함정

유동성과 이중과세의 그림자


노노상속의 세금 함정

노노상속은 80~90대 부모의 사망으로 50~60대 고령 자녀가 재산을 물려받는 현상을 뜻합니다. 최근 흐름은 통계로도 뚜렷합니다. 2023년 상속세 과세 대상 중 80세 이상 피상속인이 남긴 재산은 20조3,200억 원으로 5년 전의 3배 수준이며, 전체 건수의 과반(53.7%)이 80대 이상 사례였습니다. 유산 구성도 문제입니다. 80대 이상 피상속인의 상속재산 중 약 73%가 건물·토지 등 부동산으로 묶여 있습니다.현금흐름이 약한 자산이 다수인 탓에 세금 납부 재원을 당장 마련하기 어려운 ‘유동성 함정’이 빈번합니다. 더구나 고령 자녀가 곧 다시 사망해 단기간 내 재상속이 일어나면 세대생략 할증이나 연속 과세 이슈가 얽히며 부담이 눈덩이처럼 불어나기도 합니다.

노노상속, 현금이 없다.

노노상속의 1차 위험은 유동성입니다. 예를 들어 상속재산이 시가 10억 원의 주택 1채뿐이고, 일괄공제 5억 원 외에 추가 공제가 없다고 가정하면 과세표준은 5억 원입니다. 이 경우 산출세액은 5억×20%−누진공제 1천만 원=9천만 원으로 ‘현금 한 번에 마련하기엔 큰돈’입니다. 주택이 20억 원이면 일괄공제 후 과세표준 15억 원, 산출세액은 15억×40%−1.6억=4.4억 원까지 치솟습니다. 반면 피상속인과 10년 이상 동거했고 1세대 1주택 요건을 충족하면 동거주택 상속공제(최대 6억 원)로 세 부담을 크게 낮출 수 있습니다. 즉, 같은 ‘집 한 채’라도 요건 충족 여부에 따라 세금과 현금수요는 전혀 달라집니다.

이중과세, 노노상속의 또 다른 문제

노노상속은 상속받은 상속인도 고령이기 때문에 예상치 못한 연속 상속이 발생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처럼 부모→자녀→손주로 짧은 간격의 두 번 상속이 예상되면 ‘세대생략’ 전략을 고려하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하지만 우리 세법은 조부모가 자녀를 건너뛰어 손주에게 직접 상속·증여하는 경우 산출세액에 30%를 가산(손주가 미성년이고 20억 원 초과를 받으면 40%)하도록 할증합니다. 반대로, 고령 자녀가 상속받은 뒤 10년 내 사망해 동일 재산이 재상속되는 경우에는 단기재상속세액공제로 2~10년 구간별로 전 상속분 세액의 일부를 공제합니다. 즉, ‘두 번 납세’의 충격을 완화하는 안전핀은 있으나, 케이스별 유불리가 크게 갈립니다. 동일 자산의 가치·기간·공제 적용 여부를 동시에 비교해, 세대생략(할증)과 일반승계+단기재상속공제 중 어느 쪽이 총부담을 낮추는지 확인할 필요가 있습니다.

노노상속은 사전 준비가 매우 중요합니다. 같은 평가액이라도 공제 충족·납부 방식·자금 동원 계획에 따라 체감 부담은 전혀 달라지기 때문입니다. 똑같은 집 한채라 해도 꼼꼼히 준비했다면 세금을 크게 낮출 수 있지만, 준비가 부족하면 급매·과대출로 실물 손실이 커집니다. 법·제도가 변하고 있으나, 시행까지의 시간차가 있는 만큼 당장 활용할 수 있는 공제·납부 제도를 최우선으로 설계하고, 중장기 개편의 방향(유산취득세)을 전제로 자녀·손주 세대의 승계 시나리오를 미리 준비해야 합니다.

노노상속연구소의 실전 팁

  • 연부연납·물납 활용
    납부세액 2천만 원 초과 시 담보 제공을 전제로 연부연납을 신청하세요(일반재산 최대 10년, 가업상속 특례는 더 장기 가능). 이자부담(최근 고시 이율)을 감안해 매각·대출·보험과의 비용 비교표를 만들어야 합니다. 물납은 ‘부동산·유가증권 비중이 과반’ 등 요건이 엄격하니, 상속 전 자산구성과 금융자산 비율을 미리 점검해 적격 여부를 사전 진단하세요.
  • 혼인·출산 증여공제
    시행 중인 추가공제(1인당 1억, 기본공제 5천만 원과 별도)를 결합하면 신혼부부 합계 최대 3억까지 증여세 없이 이전 가능합니다. ‘혼인신고 전후 2년·출생 후 2년’의 기간 요건과 증빙을 철저히 준비하고, 조부모 증여와의 합산·기증여 이력도 함께 관리하세요.
  • 동거주택 상속공제
    피상속인과 10년 이상 동거, 1세대 1주택 등 요건을 갖추면 최대 6억 공제가 가능합니다. 고령 부모와 실거주를 계속한다면 주민등록·건보 자격·세대분리 이력 등 ‘동거·1주택’ 사실관계가 흔들리지 않도록 서류를 꾸준히 정비하세요. 공동상속 시에는 요건 충족자의 지분만큼 공제되는 점도 유념하세요.

노노상속 유동성 이중과세
상속 vs 사전증여

상속 vs 사전증여

2025년 07월 08일
쟁족의 시대

쟁족의 시대

2025년 06월 17일
부모 돌봄과 상속 갈등

부모 돌봄과 상속 갈등

2025년 06월 04일